석탄화력발전소 폐쇄와 발전노동자들의 삶과 전환을 기록하는 다큐멘터리 프로젝트
2025 투쟁선포 현장간부 결의대회_산업통상자원부 앞 (사진: 공공운수노조)
지금, 전 세계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하고 있습니다. 독일, 스페인 등 일부 국가는 이 과정에서 노동자의 생계와 권리를 보장하는 정의로운 전환 정책을 제도화하며, 전환의 주체로서 노동자와 함께 하고 있지만 한국의 상황은 그렇지 못합니다. 한국은 2050탄소중립을 목표로 석탄발전소의 단계적 폐쇄를 추진하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노동자들의 목소리는 배제되어 있고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없는 상황입니다. 2025년 12월부터 충남 태안 1,2호기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발전소 폐쇄가 시작됩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기업은 기후위기에 가장 큰 책임이 있고, 석탄발전소 폐쇄로 인한 노동자들의 생존권 문제에 대해서도 가장 큰 책임이 있습니다. 발전노동자들은 “석탄발전소는 폐쇄해도 노동자와 지역주민의 삶마저 폐쇄할 수는 없다”며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투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노동자가 정의로운 전환의 주체가 되어 기후정의운동과 연대를 통한 공공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만들어 가고자 투쟁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석탄화력발전소의 폐쇄와 발전노동자들의 삶과 전환을 기록하고자 이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태안화력발전소 故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의 명복을 빕니다.
김용균 노동자가 사망한 지 6년이 지난 2025년,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또다시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석탄발전 노동자들의 삶과 정의로운 전환 투쟁을 다큐멘터리로 만들고자 하는 과정에서 이번 사고 소식은 너무나 절망스럽고 안타깝습니다.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반드시 이뤄져야 합니다. 일하다 죽는 노동자가 없도록 죽음의 외주화를 당장 멈춰야 합니다.
석탄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 다큐 제작팀(공공운수노조발전비정규직연대/녹색연합/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새알미디어)은 태안화력 비정규직 노동자 故김충현님 사망사고와 관련해 영상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긴급하게 전개되는 일정과 유족과 동료들의 가늠하기 어려운 슬픔을 헤아릴 길이 없습니다.
하루 빨리 정부가 책임있는 자세로 나서서 진실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하고, 더이상 위험의 외주화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길 간절히 바랍니다. 저희가 제작하는 영상들이 조금이나마 많은 시민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길 바랍니다.
다큐멘터리 제작후원단체가 되어 주세요
석탄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삶과 정의로운 전환의 투쟁을 기록하는 여정에 함께해 주세요.
전 세계가 기후위기에 맞서 탈석탄을 선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전환의 속도와 방식이 공정한가 묻는다면, 한국의 현실은 여전히 노동자의 삶을 뒤로 한 채 빠르게 폐쇄의 길로만 내달리고 있습니다. 2025년 12월, 충남 태안 1·2호기를 시작으로 석탄화력발전소의 폐쇄가 본격화됩니다. 하지만 그 속에서 일하던 노동자들의 삶, 지역의 현실, 전환의 책임은 외면당하고 있습니다. ‘정의로운 전환’은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가야 합니다. 우리는 발전 노동자들과 함께 전환의 한복판에서 싸우고 있는 발전노동자들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해 투쟁하고 있는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영상으로 담아내고자 합니다. 하지만 이 기록이 끝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는 여러분의 연대가 필요합니다. 이 다큐멘터리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4년간 진행되는 장기 프로젝트입니다. 촬영, 편집, 아카이브, 상영회 등 제작 전반에 있아 재정적 후원이 절실합니다.
석탄발전소는 폐쇄해도, 노동자의 삶은 폐쇄할 수 없습니다. 지금, 이 싸움과 기록에 함께해 주세요.
문 의ㅣ sealmedia2023@gmail.com
후 원ㅣ 국민은행 024801-04-535541 (예금주 : 새알미디어)
공동제작 단체
공공운수노조 발전비정규직연대
(사)녹색연합
(사)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새알미디어